2Q21E: 매출 qoq Flat & OP qoq 개선, 종전 전망치 대비 소폭 미달 전망
2Q21 연결영업실적은 매출 1,655억원(qoq 1.0%), 영업이익 526억원(qoq 4.5%)으로서 전분기 대비 매출은 비슷하나, 영업이익은 소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는데 이는 당사 종 전 전망치에는 소폭 미달하는 수치이다. 2Q21 실적의 핵심은 USD 기준 결제액이 qoq Flat으로서 여전히 성장성이 부진하다는 점이다. 동사의 핵심지표인 결제액 성장성은 1Q20까지 7-8개 분기 동안 지속적으로 부 진하다가 2020년초 코로나 19가 발발하며 그에 따른 강한 수혜로 2Q20은 큰 폭으로 반 등했으나 3Q20 이후 다시 원래의 부진한 모습으로 회귀한 후 그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2Q21 매출이 전분기 대비 비슷한 수준에 그치는데도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다소 개선 될 것으로 전망하는 것은 분기별 80억원 정도에 달하던 미국 DDI 인수 관련 상각비(월별 로는 26.7억원 정도)가 2021년 6월부터는 분기 기준 30억원(월 기준 10억원) 정도로서 기존 금액의 60-70%가 감소함에 따른 것이다.
더블유게임즈 주가 일봉
더블유게임즈 주가 주봉
한국 DDI 나스닥 상장 일정 연기
동사는 전일 한국 DDI의 나스닥 상장 일정이 연기되었음을 고지했다. 작년 상장 1차 연기 후 올해 2차로 상장을 재추진하며 1H21(6월내) 상장을 목표로 했으나 기존 대표주관사와 의 상장시점 관련 합의점 도출에 실패하여 기존 주관사와 계약을 해지하고 새 대표주관사 선정을 진행하게 됨에 따라 6월 상장 목표는 달성하지 못하게 된 상황이다.
사측에서는 재무제표 검토, F-1 관련 서류 제출 등 상장을 위한 대부분의 제반 준비는 완료된 상황이 며 대표주관사 선정을 빠르게 추진하여 IPO 일정 지연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으나 현재 로선 상장일정은 잠정 연기된 상황으로서 그 시점을 예측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TP 하향. 한국 DDI 나스닥 상장 일정 구체화 시점 목표주가 재조정 예정
의견은 Buy를 유지하나, 목표주가는 9만원에서 8만원으로 11% 하향한다. 동사는 매출 성장성도 부진하고 신작모멘텀도 약한 가운데 한국 DDI 나스닥 상장에 따른 밸류에이션 격차 축소 모멘텀이 단기 핵심모멘텀이었다. 따라서, 한국 DDI 나스닥 상장 모멘텀을 반 영하여 상향했었던 목표주가는 상장일정 연기로 재차 하향하며, 한국 DDI 나스닥 상장 일 정이 구체화되는 시점에 목표주가를 재조정하기로 한다.
이베스트
'주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엠씨넥스 주가, 분기별 실적 추정 (0) | 2021.06.25 |
---|---|
셀리버리 주가, 파이프라인 확장 분석 (0) | 2021.06.25 |
명신산업 주가, 오버행 물량에 대한 부담 (0) | 2021.06.25 |
웹젠 주가, 실적 추이 분석 (0) | 2021.06.24 |
롯데하이마트 주가, 기존 전망치보다 낮은 성장 예상 (0) | 2021.06.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