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사 설비투자 축소 방향은 한동안 지속될 듯
반도체 전공정 장비 4개 사업 영위
동사는 2019년 4월 ㈜피에스케이홀딩스로부터 인적 분할을 통해 신규 설립, 코스닥 시장에 재상장되었다. 동사는 반도체 전공정 장비 4개 제품들(PR Strip, Dry cleaning, NHM Strip, Bevel Etch)을 생산하며, ㈜피에스케이홀딩스는 후공정 장비 2개 제품들(WLP Descum, Reflow System)을 생산하고 있다. 주요 고객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인텔, UMC, Globalfoundries 등이다. 주력 제품 PR strip이 전체 매출의 7~80%를 차지하고 있으나, 신제 품들(NHN strip, Bevel Etch)이 PR strip 대비 가격대가 2배 이상 높은 고부가 제품군이다.
기존 주력 제품 PR strip VS. 북미 고객 향 신제품 NHM strip
주력 제품 PR strip는 반도체 식각(Etching) 공정을 마친 후 PR(감광액)을 제거하는 Ashing 장비다. 범용성이 높아 DRAM, NAND, Logic 등 모든 영역에 사용된다. 2021년 기준 세계 시장 규모는 754백만불이며, 동사가 42%를 점유하여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경쟁사로는 Mattson Technology사가 29%를 점유하고 있으며, 그 외 TES, Ulvac, Lam Research 등이 각 각 10% 이하의 점유율 가지고 있다.
신제품 NHM(New Hard Mask) strip은 2019년부터 북 미 M사 향으로 본격 판매가 된 장비로서, NAND 제조용으로만 사용된다. 기존에는 하드마 스크와 감광액을 PR strip으로 함께 제거할 수 있었으나, NAND가 3D 고단층화됨에 따라 신 규 막질 사용으로 하드마스크와 PR을 각각 따로 제거하는 장비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다른 메모리 업체들은 사용하고 있지 않아 시장이 한정되어 있다.
Dry cleaning: 신규 고객 확대 중
웨이퍼가 공기 중에 노출되면서 녹이 슬기 때문에, 증착 작업 전에 오염된 공기막을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동 제품은 국내 최대 고객의 DRAM 제조용으로 공급되고 있다. Wet cleaning(습식 세정)에 비해 Dry cleaning(건식 세정)이 차지하는 비중은 1% 정도로 연간 시 장 규모가 1천억원 정도다. 그러나 미세화 진전에 따라 wet cleaning으로 처리할 수 없는 세 정 케이스가 계속 증가하고 있어 시장 규모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 한편 동사는 1H22 부터 중국 신규 고객에 독점 공급을 시작했고, 1H23까지 국내 다른 DRAM업체에 공급 예정 이다. 전방 수요가 불확실하고 투자 스케쥴 재조정이 예상되기는 하나, 신규 고객 확대로 매 출 성장 기회는 커지고 있다.
신제품 Bevel Etch는 수율 향상에 기여, 연말 이후 고객사 양산 전환 기대
Bevel Etch는 웨이퍼 가장 자리가 침식되거나 불필요한 잔여물(파티클)이 생성된 경우, 이를 제거하는 장비다. 웨이퍼 중앙에는 적용되지 않고 가장 자리의 파티클을 제거하는 장비로서, 고가에도 불구하고 생산수율 향상에 기여, 성과가 좋아지면서 사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1H22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초도 물량을 공급했고, 연말 이후 본격적으로 고객사들의 양산 전환을 기대하고 있다. 시장 규모는 2천억원 정도로 추정되는데, 기존에 Lam Research 가 독점하던 것에서 국산화 한 것으로, 더 낮은 가격에 생산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Bevel Etch는 동사 제품 포트폴리오 중에 가장 고가이고, 국산화 수혜 품목이기 때문에 향후 실적 기여를 가대하고 있다.
소비경기 둔화로 반도체 수요 감소, 재고 증가 -> 설비투자 축소
1H21를 정점으로 달러강세,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글로벌 소비경기 둔화세가 최근 더욱 가속 화되고 있다. 중앙은행들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가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으며, 고객사들의 주문 축소에 따라 반도체 기업들의 보유 재고일수는 급상승 하고 있다. 메모리 업체들의 감산 공조가 확대되고 있고, 파운드리 업체들도 가동률 하락에 직면하여, 전세계 반도체 설비투자 계획은 하향조정 추세에 있다.
BNK투자증권, 2022.10.17
'주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스코케미칼 목표 주가 음극재 관련주 분석 (0) | 2022.10.18 |
---|---|
금양 주가 글로벌 발포제 1위 기업의 향후 모습은? (0) | 2022.10.16 |
펄어비스 주가 붉은사막 출시 시점 분석 (0) | 2022.10.15 |
한국조선해양 주가 중공업 조선 관련주 분석 (0) | 2022.10.14 |
휴마시스 주가 체외진단 키트 관련주 분석 (0) | 2022.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