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이야기242

테스나, 카메라 이미지 센서 관련주 분석 1분기 매출 440억 원 기록 이후 2분기 400억 원 추정 테스나는 반도체 후공정 중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테스트 사 업을 영위하고 있다. 테스트는 웨이퍼 레벨 테스트와 패키지 레벨 테스트로 구분되는데, 매출의 대부분이 웨이퍼 레벨 테 스트에서 발생한다.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 각 38%, 25% 증가한 440억 원, 99억 원을 기록했다. 2분기 매출은 1분기 대비 감소한 400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는 지 난 2월에 발생했던 텍사스 오스틴 한파 영향이 웨이퍼 아웃 풋 기준으로 테스나의 1분기 실적이 아니라 2분기 실적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2021년 연간 매출은 1,910억 원으 로 추정한다. 테스나 일봉 테스나 주봉 웨이퍼 아웃풋의 점진적 개선과 기존에 투자했 던 테스트 설비의.. 2021. 6. 8.
제테마, 보툴리눔 톡신 한국, 중국, 브라질 파이프라인 가치 추정 안전성과 높은 몰딩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은 ‘꿈의 필러’ 제테마의 필러 브랜드 ‘에피티크(e.p.t.q)’는 후발 주자임에도 불구하고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큰 폭의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 에피티크의 기술 경쟁력은 크게 두 가지다. 1) 낮은 가교율을 바탕으로 한 안전성 확보, 2) Monophasic 공법 적용을 통한 높은 몰딩감 제공이다. 물러적 가교 공법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필러 개발에 성공했으며 이러한 경쟁 력을 바탕으로 필러 매출액은 2017년 51억원에서 연평균 30% 성장 했다. CE 인증을 획득한 2020년에는 코로나19에 따른 Peer들의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40% 이상 성장한 141억원을 기록했다. 2021년에 도 이러한 고성장세를 바탕으로 287억원을 달성할 전망이다. 제테마.. 2021. 6. 8.
한국카본, LNG 선박 관련주, 수주 잔고 분석 LNG선박 초저온보냉재 + 복합소재 전문업체 한국카본은 1984년 설립되어 카본소재 중심의 사업을 영위하다 2000년대부터 Mark- Ⅲ 타입 LNG화물창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R-PUF(Reinforced Polyurethane Foams, 강화폴리우레탄폼) 기반의 초저온보냉재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동사는 멤브레인을 제외한 모든 보냉재 제품을 납품하고 있으며, 특히 Secondary barrier 역할의 Triplex 국산화에 성공하여 글로벌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외에 바닥장식재, 건축 내외 장재, 산업용 필터 등에 적용되는 Glass Paper 사업과 카본프리프레그(Carbon PREPREG)를 주력으로 하는 복합소재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한국카본 일봉 한국카본 주봉 PU단열재 사업.. 2021. 6. 8.
두산인프라코어, 굴삭기 관련주, 인적분할 및 분할합병 일정 5월 중국 굴삭기 판매대수 2.3만대(-23.8%, 이하 YoY) 전망 5월 중국 굴삭기 판매대수는 2.3만대(-23.8%)로 하락할 전망이다. 4 월(4.2만대, -5.2%)에 이어 약세가 지속될 예정이다. 부진한 판매대수 의 원인은 1) 2020년 높은 기저, 2) 중국 정부의 건설 공사 규제, 3) 유 동성(M2) 축소 움직임이다. 2020년 코로나19로 1~3월 수요가 4~5월달로 이연됐다. 중국 정부는 최근 급등한 철강 제품 가격 조정을 위해 일부 지역의 공사 일정을 조 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과열된 경기, 인플레이션 완화를 위해 유동성(M2) 증가율도 축소했다. 두산인프라코어 일봉 두산인프라코어 주봉 중국 굴삭기 판매량은 1분기 호조 (11.4만대, +85.3%)로 2021년 32.2만.. 2021. 6. 8.